데포르티보 무니시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은 1935년 리마 시의 자치 단체를 대표하는 축구팀으로 창단된 페루의 축구 클럽이다. 1938년, 1940년, 1943년, 1950년에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승했으며, 1968년, 2006년, 2014년에는 페루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우승했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코파 수다메리카나에도 참가했으며, 우고 소틸, 제페르손 파르판 등이 이 클럽을 거쳐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루 테르세라 디비시온 구단 - 후안 아우리치
페루의 축구 클럽인 후안 아우리치는 1922년 창단되어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2011년 우승과 코파 페루에서 두 차례 우승을 차지했으며, 엘리아스 아기레 경기장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페루 축구에 관한 -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는 1924년에 창단된 페루의 스포츠 클럽으로, 축구팀이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며, 알리안사 리마와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 페루 축구에 관한 -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은 1912년 아마추어 리그로 시작하여 1951년 프로 리그로 전환된 페루의 최상위 축구 리그이며, 18개 팀이 참가하여 토르네오 아페르투라, 토르네오 클라우수라, 플레이오프 방식으로 진행되고, 우니베르시타리오 데 데포르테스가 최다 우승을 기록한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상파울루 FC
상파울루 FC는 1930년 창단된 브라질 상파울루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국내외 주요 대회에서 다수 우승을 차지한 명문 클럽이며, 특히 1990년대 텔레 산타나 감독 체제 하에 전성기를 누렸다. - 1935년 설립된 축구단 -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
1935년 아르헨티나에서 창단된 축구 클럽 데펜사 이 후스티시아는 꾸준한 승격 끝에 2014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진출, 2020년 코파 수다메리카나와 2021년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으로 국제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홈 경기장은 노르베르토 "티토" 토마젤로 스타디움이다.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클럽 센트로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Club Centro Deportivo Municipal) |
별칭 | 라 아카데미아 (La Academia, The Academy) 무니 (Muni) 에차 무니 (Echa Muni) 로스 에딜레스 (Los Ediles) 라 프란하 (La Franja) 엘 쿠아드로 데 라 코무나 (El Cuadro de la Comuna) |
창단 | 1935년 7월 27일 |
홈 구장 | 에스타디오 이반 엘리아스 모레노 |
수용 인원 | 10,000명 |
회장 | 알도 올세세 |
감독 | 빅토르 리베라 |
리그 | 리가 2 |
2023 시즌 | 리가 1, 19팀 중 18위 (강등) |
웹사이트 | 데포르티보 무니시팔 공식 웹사이트 |
유니폼 정보 | |
홈 유니폼 | 흰색 셔츠, 남색 반바지, 흰색 양말 |
원정 유니폼 | 남색 셔츠, 흰색 반바지, 남색 양말 |
2. 역사
리마 시의 자치 단체를 대표하는 축구팀을 만들고자 했던 세 명의 시립 이사들의 발의로 클루브 센트로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이 창단되었다. 1934년 다른 팀과 합병하여 센트로 데포르티보 무니시팔(Centro Deportivo Municipal)을 창단하고, 1935년 승격 토너먼트에 참가한 Círculo Deportivo Municipal이 결성되었다.
구단은 1935년 7월 27일 리마 시청에서 공식적으로 창단되었다. 승격 토너먼트에서 2위를 차지한 후, 1936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뛸 자격을 얻었고, 1938년 첫 번째 전국 타이틀을 획득했다.
1967년에 강등되었고, 1969년에 다시 승격했다. 2000년까지 최상위 리그에 머물렀지만, 시즌 마지막에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 팀은 세군다 디비시온으로 강등되었고, 22경기에서 승점 45점을 얻어 타이틀을 획득하여 승격이 이루어진 2006년까지 그곳에서 뛰었다. 그들은 여러 달 동안 선수들에게 임금을 지급하지 못하는 등 어려운 시즌을 보낸 후 2007년에 다시 강등되었다.
2011 토르네오 인터메디오에서 이 클럽은 8강전에서 호세 갈베스에게 탈락했다. 이 클럽은 2012 코파 페루의 전국 무대에 진출했고,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뛰도록 초청받았다.
2014년, 이 클럽은 유니온 우아랄을 꺾고 7년 만에 처음으로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했다.
2. 1. 창단과 초기 (1935~1967)
1935년 7월 27일, 리마 시의 자치 단체를 대표하는 축구팀을 만들고자 했던 리마 시의회 의원들의 주도로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이 창단되었다. 초기에는 '센트로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이라는 명칭을 사용했다. 1934년 다른 팀과 합병하여 센트로 데포르티보 무니시팔(Centro Deportivo Municipal)을 창단하고, 1935년 승격 토너먼트에 참가한 Círculo Deportivo Municipal이 결성되었다.1936년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되었고, 1938년에 첫 전국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1940년, 1943년, 1950년에도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우승을 추가하며 초창기 성공적인 역사를 써내려갔다.
1967년에 강등되었다가, 1969년에 다시 승격하였다.
2. 2. 강등과 승격 (1967~2014)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은 1967년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강등되었으나, 1969년에 다시 승격되었다. 2000년까지 1부 리그에 잔류하였으나, 해당 시즌에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되었다. 이후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2006년에 우승을 차지하며 승격하였으나, 선수단 임금 체불 문제 등 어려운 시즌을 보낸 후 2007년에 다시 강등되었다.2011 토르네오 인터메디오에서는 8강에서 호세 갈베스에게 패배하였고, 2012 코파 페루 전국 스테이지 진출 후 다시 세군다 디비시온에서 뛰게 되었다. 2014년에는 유니온 우아랄을 꺾고 세군다 디비시온 우승을 차지하며 7년 만에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복귀하였다.
2. 3. 최근 역사 (2015~현재)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은 2014년 유니온 우아랄을 꺾고 7년 만에 페루 프리메라 디비시온으로 승격했다. 2015년부터 프리메라 디비시온에 참가하고 있으며,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코파 수다메리카나 등 국제 대회에도 참가했다.3. 유니폼과 엠블럼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의 홈 유니폼은 흰색 바탕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빨간색 사선 줄무늬가 있으며, 파란색 반바지와 흰색 양말을 착용한다. 원정 유니폼은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 등 여러 가지 옵션이 있다. 홈 유니폼의 색상은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과 유사하며, 이는 클럽 창단일(1935년)이 페루 독립 기념일 전날이었다는 사실을 상징한다.
1935-1936년까지는 리마의 문장을 엠블럼으로 사용하였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엠블럼은 붉은색 바탕에 흰색 원이 있고, 원 안에는 "CCDM"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3. 1. 유니폼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의 홈 유니폼은 흰색 바탕에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이어지는 빨간색 사선 줄무늬가 있으며, 파란색 반바지와 흰색 양말을 착용한다. 원정 유니폼은 빨간색, 파란색, 검은색 등 여러 가지 옵션이 있다. 홈 유니폼의 색상은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 유니폼과 유사하며, 이는 클럽 창단일(1935년)이 페루 독립 기념일 전날이었다는 사실을 상징한다.3. 2. 엠블럼
1935-1936년까지는 리마의 문장을 엠블럼으로 사용하였다. 2015년부터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엠블럼은 붉은색 바탕에 흰색 원이 있고, 원 안에는 "CCDM"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4. 경기장
데포르티보 무니시팔은 역사상 여러 경기장을 사용해왔다. 국립 경기장,[2] 초리요스 시립 경기장,[2] 미겔 그라우 경기장,[2] 알레한드로 비야누에바 경기장,[2] 산 마르코스 대학교 경기장,[2] 그리고 이전의 산 마르틴 데 포레스 경기장[2] 등이 있다. 최근에는 비야 엘 살바도르에 있는 이반 엘리아스 모레노 경기장을 홈 경기에 사용하고 있다.[2]
5. 성적
(리그)
단기
토너먼트
(리그)